시원하지만 괴로운 에어컨 바람…냉방병 증상과 예방법 총정리
무더운 여름철, 실내에서 에어컨 바람을 쐬는 것만큼 시원하고 행복한 일이 또 있을까요?
하지만 그 시원함 뒤에는 몸을 괴롭게 만드는 ‘냉방병’이 숨어 있습니다.
장시간 냉방된 공간에 노출되면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냉방병은 단순한 감기와 혼동되기 쉬워 초기에 대처하지 않으면 장기적인 컨디션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냉방병이란?
냉방병은 의학적 병명은 아니지만, 에어컨 등 인공적인 냉방 환경에서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일련의 증상들을 말합니다.
특히 실내외 온도 차이가 5도 이상 벌어질 경우 자율신경계가 불균형해지고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냉방병 주요 증상
감기와 비슷한 증상: 콧물, 재채기, 인후통, 두통, 오한 등
피로감 및 집중력 저하: 이유 없이 피곤하고 무기력해짐
소화 불량: 복부 냉기로 인한 소화기능 저하
근육통 및 관절통: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팔다리가 뻣뻣하거나 저림
생리불순 및 복통(여성): 장시간 찬 환경 노출 시 하복부 혈류에 영향
수면장애: 밤새 에어컨 바람을 맞으며 수면의 질 저하
냉방병 예방법
적정 실내 온도 유지
냉방 시 실내외 온도 차를 57도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적정 온도는 2527도이며, 너무 차갑게 설정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에어컨 바람 직접 맞지 않기
에어컨 송풍구 앞에서 장시간 앉아 있지 않도록 하고, 가능하다면 간접풍으로 설정하거나 바람막이를 사용하세요.
주기적인 환기
냉방을 하다 보면 실내 공기가 탁해지고 습도가 낮아져 호흡기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하루 2~3회 창문을 열어 환기해 주세요.
얇은 겉옷이나 담요 준비
냉방된 실내에서는 체온 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카디건이나 무릎 담요 등으로 몸을 보호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따뜻한 음식과 음료 섭취
아이스커피나 찬 음료만 찾게 되는 여름이지만, 속이 차가워지면 냉방병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뜻한 물, 생강차, 된장국처럼 속을 데우는 음식을 섭취해 주세요.
규칙적인 운동과 스트레칭
실내에 오래 있더라도 간단한 스트레칭이나 체조로 순환을 도와주는 것이 냉방병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냉방병이 의심된다면?
이미 몸이 차고 두통이나 콧물 증상이 느껴진다면 일단 찬 바람을 피하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 가장 우선입니다.
집에서는 반신욕이나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며 체온을 회복시키고, 증상이 심할 경우 감기와 달리 해열제보다는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이 더욱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