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치주염과 치은염의 차이점부터, 잇몸 염증 관리와 치아 건강 관리까지

동유세상 2025. 4. 26. 20:29
반응형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단순히 양치만이 아닙니다

우리가 흔히 듣는 '치은염'과 '치주염'은 치아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잇몸 질환인데요,

둘의 차이를 정확히 알고 조기에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치주염과 치은염의 차이, 그리고 치주염 증상, 치은염 초기증상을 살펴보고, 잇몸 염증 관리법과 치아 건강 관리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Alt 속성 문제 해결 설명 이미지
AI그림

치주염과 치은염, 무엇이 다를까?

먼저, 치은염과 치주염은 같은 잇몸질환의 연속선상에 있지만 상태의 심각도가 다릅니다.

치은염은 잇몸에만 국한된 염증을 말합니다.

플라그(치태)가 치아와 잇몸 경계 부위에 쌓이면서 발생하는데, 비교적 가벼운 단계입니다.

이 시기에는 잇몸이 붓거나 약간 출혈이 있을 수 있지만, 뼈나 치조골 손상은 없습니다.

치주염은 치은염이 악화된 상태로, 잇몸을 넘어 치아를 지탱하는 뼈(치조골)까지 손상시키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진행되면 치아가 흔들리고 결국 빠질 수도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치은염은 '경고'이고, 치주염은 '위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치주염 증상, 이렇게 나타납니다

치주염은 조용히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에는 큰 통증 없이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치주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잇몸이 붓고, 쉽게 피가 난다

입에서 지속적으로 불쾌한 냄새(구취)가 난다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자주 끼고 빠지지 않는다

치아가 흔들리는 느낌이 들거나 실제로 흔들린다

차가운 음식, 뜨거운 음식에 예민하게 반응한다

잇몸이 내려앉아 치아가 길어 보인다

이런 증상이 방치되면, 결국 치아를 잃게 되는 상황까지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치은염 초기증상, 조기에 잡아야 합니다

 

치은염은 초기에 발견하면 비교적 간단한 치료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시하면 곧 치주염으로 진행될 수 있죠. 치은염 초기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양치할 때 잇몸에서 피가 난다

잇몸이 붉고 부어 있다

잇몸이 약간 따끔거리거나 가려운 느낌이 든다

입안이 쉽게 마르고, 구취가 생긴다

특히 양치나 치실 사용 중에 쉽게 피가 난다면 '그냥 피곤해서'라고 넘기지 말고 치과를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잇몸 염증 관리, 이렇게 하세요

잇몸 염증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관리가 필수입니다.

올바른 칫솔질

하루 2~3회, 부드러운 칫솔로 잇몸선을 따라 꼼꼼히 양치하세요.

특히 수직 방향으로 부드럽게 닦는 것이 좋습니다.

치실과 구강세정기 사용

치아 사이에 남은 이물질은 칫솔만으로 제거가 어렵습니다. 치실이나 워터픽을 활용해 보세요.

정기적인 스케일링

플라그는 시간이 지나면서 딱딱한 치석으로 변합니다.

치석은 잇몸 염증의 주범이므로 6개월~1년에 한 번은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흡연 금지, 건강한 식습관

흡연은 잇몸 혈류를 악화시키고 염증을 심화시킵니다.

또한 설탕이 많은 음식보다는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와 과일을 섭취하세요.

치아 건강 관리, 작은 습관이 큰 차이를 만듭니다

치아 건강은 하루아침에 지켜지는 것이 아닙니다. 매일매일 작은 습관들이 모여 건강한 잇몸과 치아를 만들어줍니다. 다음을 실천해보세요.

아침, 점심, 저녁 식사 후 양치하기

플라그 제거를 위해 하루 한 번 치실 사용

단 음식 섭취 후 바로 양치하거나 물로 헹구기

입 안이 마르지 않도록 충분한 수분 섭취

정기적으로 치과 검진 받기

특히 조기 발견과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잇몸에서 피가 난다거나 구취가 심해졌다면 가볍게 넘기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