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개인연금, IRP, ISA 계좌… 어디서부터 알아야 할까?
나이가 들어가면서 대화의 주제는 아무래도 재테크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게 되는거 같습니다.
“IRP는 지인이 설명해줬고, ISA는 친언니가 말해줬는데… 나는 아직도 헷갈리기만 해.”
연말정산 시즌이나 재테크 이야기가 오갈 때 한 번쯤은 들어봤을 IRP, 개인연금, ISA 계좌. 누군가의 친절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머릿속이 정리되지 않았다면, 어디서부터 차근히 짚어봐야 할까요?
오늘은 나처럼 이해가 더뎌도 괜찮은 사람들을 위해, 세 계좌의 성격과 차이점, 그리고 공부 순서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먼저, 세 계좌의 정체부터 간단히!
■ 어떤 순서로 이해하면 쉬울까?
① 연말정산 혜택을 받고 싶다면 → IRP와 개인연금부터!
둘 다 연말정산의 ‘효자상품’입니다.
IRP와 개인연금(연금저축)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서 매년 납입 금액의 13.2%~16.5%를 돌려받을 수 있는 구조예요.
IRP는 직장인의 퇴직금을 넣거나 추가로 납입해 노후에 연금처럼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연금저축은 본인이 노후 대비로 돈을 차곡차곡 모으는 금융상품이고, 대부분은 보험형이나 펀드형으로 운영됩니다.
IRP는 연금저축과 비교해 연금개시 조건이 까다롭지만 세액공제 한도를 더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두 계좌를 함께 활용하면 최대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② IRP와 연금저축을 이해한 다음 → ISA로 확장!
ISA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연금 목적이 아니라 자산을 굴리는 통합 계좌예요.
예·적금, 펀드, 주식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한 계좌 안에서 운용할 수 있고
비과세 혹은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죠.
ISA는 반드시 연금으로 이어지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중도 인출도 자유롭고 투자 범위도 넓어요.
IRP나 개인연금보다 자유롭지만 세액공제는 없고 비과세 혜택이 핵심입니다.
■ 헷갈리는 나에게 딱 맞는 정리
노후 대비와 연말정산 혜택을 동시에 챙기고 싶다면?
* 연금저축 + IRP 조합 추천!
단기, 중기 목표로 자산을 운용하고 싶다면?
* ISA부터 시작해도 좋아요. 특히 주식, 펀드에 관심 있다면 꼭 열어두세요.
순서가 헷갈린다면?
IRP와 연금저축으로 ‘세액공제 구조’ 먼저 익히기
이해가 되면 ISA로 ‘비과세+투자 확장’ 영역까지 넓히기
재테크는 결국 나의 목적과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RP와 연금저축은 세금을 줄이면서 노후를 준비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이고,
ISA는 보다 자유로운 투자와 절세 전략을 펼칠 수 있는 만능 계좌입니다.
처음에는 이름부터 낯설고 복잡해 보여도, 한 계좌씩 기능과 혜택을 이해하다 보면 분명히 나만의 기준이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