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건강보험료 정산 시작! 대상자, 금액, 조회 방법까지
4월이 되면 직장인의 월급 실수령액이 줄어든다는 소식을 종종 듣게 됩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바로 건강보험료 정산인데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매년 4월, 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를 정산합니다.
2025년에도 어김없이 건강보험료 정산이 시작되었으며, 올해는 특히 1,030만 명의 직장인이 평균 20만 원가량을 추가 납부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그 대상과 금액, 조회 방법까지 꼼꼼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건강보험료 정산이란?
건강보험료 정산은 쉽게 말해 전년도 보수와 실제 납부한 건강보험료 간의 차액을 정산하는 절차입니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매달 급여를 기준으로 보험료를 납부하지만, 연말정산처럼 연간 총소득이 확정되면 다시 계산해 정확한 보험료를 정산하게 됩니다.
2025 정산 대상자
올해 건강보험료 정산 대상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4년 중 보수가 인상된 직장가입자
호봉이 상승한 공무원 및 교직원
성과급, 수당 등 일시적인 보수 증가가 있었던 근로자
특히 성과급이 많은 업종, 연말 보너스를 받는 직군은 추가 납부금액이 더 클 수 있습니다.
얼마나 더 내야 할까? 평균 20만 원 추가 납부
2025년 건강보험공단 발표에 따르면, 직장가입자 1,030만 명이 이번 정산으로 추가로 납부해야 할 금액은 무려 총 3조 3,687억 원에 달합니다. 이는 전년 대비 8.9% 증가한 수치이며, 1인당 평균 약 20만 원의 추가 납부 부담이 발생합니다. 물론 일부는 환급 대상이기도 합니다.
추가 납부 대상자: 보험료를 덜 낸 경우
환급 대상자: 보험료를 더 낸 경우
정산 금액 확인 방법
내가 추가 납부 대상인지, 혹은 환급을 받는 대상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로그인
[민원여기요] → [보험료 조회] → [직장가입자 보수총액 정산 내역 확인]
또는 "모바일 앱 ‘The건강보험’"을 통해서도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납부 방법 및 기한은?
납부 기한: 보통 4월 말 또는 5월 초까지이며, 정확한 기한은 고지서에서 확인 가능
납부 방법: 자동이체, 가상계좌, 인터넷뱅킹, 카드 납부 등
분할 납부 가능: 부담이 클 경우 10회 이내로 나눠서 납부 신청 가능
단, 납부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금이 붙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산금에 불만이 있다면?
혹시 납부 금액이 너무 많다고 느껴진다면?
정산 내역에 대한 이의신청이 가능하며,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1577-1000)에 문의하거나 홈페이지를 통해 정정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