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이 중국발 저가 소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에 적지 않은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미국 정부가 국제 소형소포(소형 우편물)에 부과되는 수수료를 기존보다 대폭 인상해 150달러로 책정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이 조치는 중국에서 발송되는 '디 마일(D-MAIL)' 방식의 저가 소포를 주요 타깃으로 하고 있으며, 미국 내 자국 산업 보호와 공정 경쟁을 위한 의도가 담겨 있다.
‘디 마일(D-MAIL)’이란, 국제 우편 시스템을 활용해 물품을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개별 소비자에게 직접 배송하는 방식으로, 특히 중국발 전자상거래 플랫폼(알리익스프레스, 템u, 쉬인 등)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그동안 미국의 세관이나 유통망을 우회해 빠르고 저렴하게 배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미국 내 제조업체와 유통업계에는 심각한 가격 경쟁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미국 우정공사(USPS)는 새로운 수수료 체계를 통해 이러한 흐름을 제어하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에 따라 2025년부터는 중국발 소형 소포에 대해 수수료가 약 150달러 수준으로 대폭 인상되며, 일정 무게 이상 또는 특정 금액 이상일 경우 통관 절차도 더 까다로워질 전망이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에게도 큰 도전이 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빠른 배송과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시장을 넓혀온 중국발 플랫폼은 미국 시장에서 점차 진입 장벽이 높아지는 상황을 마주하고 있으며, 향후 유럽이나 한국, 동남아 등 다른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전략을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저렴하게 직구하던 시대’가 막을 내릴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템u나 쉬인 등에서 몇 천 원 단위의 생활용품, 액세서리, 의류 등을 주문하던 소비자들은 수수료 및 배송비 인상으로 인해 직구의 메리트를 잃게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책은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들에서도 연쇄적으로 도입될 가능성이 있어,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의 흐름 자체가 재편될 수도 있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수수료 인상을 넘어, 무분별한 저가 물량 확대에 대한 경고이며, 동시에 자국 산업 보호와 세수 확보라는 복합적인 목적이 담긴 경제정책이라 볼 수 있다.
앞으로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전자상거래 영역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글로벌 소비 트렌드의 변화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