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7LnxUYbBqulKF013_8lUWLeiHYAxaWOiW_awDsa2mXk google.com, pub-3064109974485810, DIRECT, f08c47fec0942fa0 google-site-verification=Nd0f7hre6hsUcn0B8_lJA-ZGSGuqItBEdmmEBa_75Lo google-site-verification=Nd0f7hre6hsUcn0B8_lJA-ZGSGuqItBEdmmEBa_75Lo google-site-verification=Nd0f7hre6hsUcn0B8_lJA-ZGSGuqItBEdmmEBa_75Lo 2025년 5월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자격 있는 사람은 누구?

카테고리 없음

2025년 5월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자격 있는 사람은 누구?

동유세상 2025. 4. 12. 18:51
반응형

2025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자격, 나도 대상일까?

장려금 받으려면 재산도 확인! 2025 신청 전 필수 조건

매년 5월이 되면 많은 근로자들이 기대하는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근로·자녀장려금’입니다.

저소득 가구를 대상으로 소득과 자산 기준을 충족하면 국세청이 현금으로 지급하는 제도로, 가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막상 신청하려면 헷갈리는 조건이 많아 “나도 받을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이 생기기 마련이죠.

오늘은 2025년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자격과 주요 조건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근로장려금이란?

근로장려금은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은 근로자·사업자·종교인 가구에게 근로 의욕을 높이고 생활 안정을 돕기 위해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일한 만큼 장려받는다는 점에서 ‘일하는 복지’라고 불리죠.

자녀장려금이란?

자녀장려금은 만 18세 미만(2006년 1월 2일 이후 출생)의 부양 자녀가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자녀 1명당 최대 80만 원까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가구에 한하며,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2025년 신청 기간은?

2025년 정기 신청 기간은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입니다.

이 기간을 놓쳤다면 6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반기신청’이 아닌 ‘기한 후 신청’이 가능하지만, 지급액이 10% 감액됩니다.

반드시 5월 내 신청을 권장합니다.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자격 요건

1. 가구 유형

단독가구: 배우자, 부양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 없음

홑벌이 가구: 배우자, 부양자녀 또는 70세 이상 직계존속 1명 이상

맞벌이 가구: 신청인과 배우자 모두 근로·사업·종교인 소득 있음

2. 소득 기준 (2024년 귀속 연간 총소득 기준)

단독가구: 4,200만 원 미만

홑벌이 가구: 5,500만 원 미만

맞벌이 가구: 7,100만 원 미만

(※ 자녀장려금은 홑벌이/맞벌이 가구 중 자녀가 있는 경우에 해당)

3. 재산 기준

2024년 6월 1일 기준으로 가구 전체의 재산 합계액이 2억 4천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여기서 재산이란 부동산, 자동차, 전세보증금, 금융재산, 골프회원권, 유가증권 등을 포함합니다.

재산이 1억 7천만 원을 초과하면 지급액이 50% 감액되며, 2억 4천만 원 이상이면 지급 대상 제외입니다.

4. 신청 제외 대상

전년도 중 사업자등록은 있으나 실제 사업 활동이 없는 경우

소득이 없거나 소득 증빙이 되지 않는 경우

재산 기준을 초과한 경우

국외 거주자, 전문직 사업자 등 일부 제외 대상 존재

신청 방법

ARS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신청 가능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에서도 가능

우편 또는 세무서를 통한 직접 신청도 가능

신청 안내문이 오는 경우 자동 대상자가 아니라는 오해도 많지만, 안내문이 없더라도 자격이 되면 직접 신청이 가능합니다.

 

근로·자녀장려금은 나라에서 주는 ‘숨은 복지’라 불릴 만큼 수급 대상자가 많은데도, 요건을 몰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올해는 신청 전 소득과 재산 기준을 꼼꼼히 확인하고, 5월 정기 신청 기간 내에 빠짐없이 챙겨보세요.

정확한 확인은 국세청 홈택스에서 ‘모의계산’ 기능으로도 확인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제목2 스타일 만들기